프론트엔드/Javascript(3)
-
[javascript] 원시자료형 / 참조자료형 (Primitive Type, Reference Type)
자바스크립트에서 원시자료형이 아닌 모든 것은 참조자료형이다. 원시자료형 String, number, bigint, boolean, undefined, symbol, (null) 이 있다 원시자료형과 참조자료형은 메모리에 할당되는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데, 원시자료형의 경우 변수에 하나의 원시 자료형만 담을 수 있다. let a = "hi" a>> "hi" let b = a // a; "hi" // b; "hi" a = "bye" // a; "bye" // b; "hi" 원시자료형에는 각 변수간에 데이터를 복사하면 데이터가 복사되기 때문에 기존에 데이터에 영향이 가지 않는다. 참조자료형 String, number, bigint, boolean, undefined, symbol, (null) 을 제외한 모든 ..
2022.07.11 -
[javascript] 함수
기존에 정확히 몰랐던 함수의 작동방식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한다.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는 호이스팅 (hoisting)이라는 기법으로 특별한 메모리에 미리 저장되어있다가 코드 최상단으로 끌어올려지는 듯하게 작동하는데 호이스팅 때문에 예상치 못한 동작을 하기도 한다. 까지가 내가 알고 있던 내용이지만 자세하게 어떻게 함수가 동작하는지는 모르고 있었다. 함수 코드의 묶음이자 기능의 단위이다. 입력과 출력을 가지며 (매핑: 키(key) 역할을 하는 데이터와 값(value) 역할을 하는 데이터를 짝 지어(=연결 지어) 저장하는 데이터 구조 ) 호출후에는 반드시 return하게된다. 함수 호출 후 평가식 1. 함수가 호출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함수의 코드가 조회되고, 2. 함수 호출시 전달된 파라미터로 함수의 파라미터..
2022.06.24 -
[javascript] typeof 연산자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의 타입을 확인하는 연산자이다. 문자열, 숫자, 함수, 불리언, 객체, 배열, 오브젝트...etc 다양한 변수타입이 존재하는데 배우기만 했었고 한번도 기능구현을 위해 사용해본 적 없던 연산자였기에 새로 undefined도 변수 타입이라는 것과 bigint 라는 변수타입이 있다는 것을 알게됬다. 사용법 typeof(anything) 타입을 확인하고 싶은 변수를 anything에 넣으면 타입을 확인해준다. 예시 let number = 13 typeof(number) number 위와 같이 변수의 타입을 판별해준다 let isNum = "13" typeof(isNum) string 우리가 보기에는 똑같은 숫자지만 컴퓨터는 number자료와 string자료 등 다르게 구분해서 인식한다. 실제..
2022.06.24